근교산/♠ 근교산 카~하

화악산(경기도 가평)

장유 2014. 6. 17. 11:26

화악산 [華岳山]높이 : 1468m
위치 : 경기도 가평군

 

북면
경기도 가평군 북면 끝자락 강원도와 경계를 이루면서 높게 솟아 있는 화악산은 경기도의 최고봉일 뿐만 아니라 경기 5악(화악산, 운악산, 관악산, 송악산, 감악산)중에 으뜸이다. 정상 주변은 군사지역으로 출입이 금지되어 있어 정상 서남쪽 1km거리에 있는 중봉이 화악산 정상을 대신하고 있다. 정상 신선봉(1,468m)과 서쪽의 중봉(1,450m), 동쪽의 응봉(1,436m)을 삼형제봉이라 부르고 있다.

화악산 정상은 출입금지구역이라서 군사도로가 있는 곳까지밖에 가지 못한다.

따라서 화악산 산행은 중봉(1,450)이 정상을 대신하므로

처음부터 중봉을 대상으로 산행계획을 짜야한다.

 

화악터널

 

 

준비 운동을 하고,,,

 

 

 

사남면 사창리.

 

점심식사.

 

 

 

 

 

 

 

 

 

 

 

 

 

경기도 가평군 북면과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의 경계에 있으며 높이는 1,468m이다. 동쪽의 응봉(1,436m), 서쪽의 국망봉(1,168m)과 함께 광주산맥의 주봉을 이루며 경기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가평천 계곡을 사이에 두고 명지산과 마주보고 있는데, 가평읍에서 북쪽으로 약 20km 떨어져 있고 경기 5악 중 으뜸으로 친다. 화악산을 중앙으로 동쪽에 매봉, 서쪽에 중봉(1,450m)이 있으며,산의 서·남쪽 사면에서 각각 발원하는 물은 화악천을 이루고 이것은 가평천의 주천이 되어 북한강으로 흘러든다. 제일 높은 화악산 정상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고, 중봉을 지나 애기봉을 거쳐 수덕산까지 약 10㎞의 능선이 이어지는 코스가 산행에 이용되고 있다. 주능선에 오르면 춘천호를 굽어볼 수 있으며, 중봉 정상에서는 남쪽으로는 애기봉과 수덕산, 남서쪽으로는 명지산을 볼 수 있고, 화천군쪽으로는 수려한 삼일계곡, 용담계곡, 촛대바위, 법장사 등이 있다. 이외의 관광지로는 조선 현종 때의 성리학자 곡운 김수증이 벼슬을 그만두고 정사를 지어 후학을 가르치며 은둔하던 화천 화음동 정사지가 있다.

 

 

화악산 중봉의 정상석이 세워져 있는 곳(중봉1423.7m, 이곳까지

화악산 중봉의 정상석이 세워져 있는 곳(중봉1423.7m, 이곳까지 오오를 수 있음)

 

화악산 :중봉 [華岳山]높이 : 1423.7m
위치 : 경기도 가평군

산행일자 : 2014-06-15(일요일) , 날씨 : 맑음

누구랑 : 벗꽃산악회

산행경로 : 설운현~중봉~복호동 폭포~조무락골~삼팔교

 

 

 

 

 

 

조모락골

 

 

 

복호동 폭포

복호동폭포

복희동폭포(伏羲洞瀑布)라고도 한다.

복호동폭포는 폭포의 모습이 '엎드린 호랑이(伏虎)'와 같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폭포의 형상에서 엎드린 호랑이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복희동폭포는 중국 신화에서 인간에게 수렵과 어획을 전수해준 복희(伏羲)의 고사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석룡산과 화악산 사이를 흐르는 물이 모여 이루는 조무락골

 중간에 있으며, 적목리 삼팔교에서 약 2.7㎞ 지점에 있다.

약 20m 높이에서 시원하게 쏟아지는 물줄기가 장관을 이루는데, 중턱에서 꺾여서

 쏟아져내리므로 변화가 심하다.

물줄기에서 퍼지는 물보라와 바람으로 인하여 한여름에도 서늘한 기운이 느껴진다.

 

 

조무락골이라고 이름이 붙었는지 ...?

(새조)(춤출무)(즐거울락,풍류락) : 새들이주변경관이 너무아름다워춤추며

즐겁게 놀았다라는데서 조무락골이라고하나 ,

설화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답니다

사실조무락골을 하산하면서 계곡으로 들어가보니 폭포,담.소 등 숲이 울창하고 수량이 많아

휴양,피서지로 좋은곳이고, 물고기도

 

 

 

 

 

 

'근교산 > ♠ 근교산 카~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제주)  (0) 2015.03.15
팔용산(창원)  (0) 2014.12.30
탄황산(경북 문경)  (0) 2014.05.29
팔공산(대구)  (0) 2014.04.05
태백산  (0) 2014.02.04